OS/LINUX 리눅스 서버에 실제 파일 반영 방법 정리2 - class로 부분 반영 2020. 7. 16. 앞서 방법 1에서는 파일 전체를 떠서 복사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 했다면 방법 2에서는 class파일로 부분적으로 파일을 반영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고 한다. 1번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렵다 일단 본인이 수정할 파일의 경로를 알아야 하는데 본인 프로젝트 파일에서 반영할 파일의 위치를 확인 한 후 해당 프로젝트가 있는 본인의 워크 스페이스를 찾아가 해당 경로를 그대로 입력 해 준다. - 자바소스에서 svn 싱크후 extract all (혹은 깃을 쓸 경우 변경된 부분 추출) - 올릴파일 정리(java-> class파일 바꾸고, 올리지않을 파일 빼고) 본인이 작업하고 있던 원본 워크스페이스에서 class파일(컴파일이 끝난)을 추출한 파일과 바꿔줘야함(저 같은 경우 저의 워크스페이.. 리눅스 서버에 실제 파일 반영 방법 정리1 - War(Web application ARchive, 웹 애플리케이션 아카이브)로 전체 반영 2020. 7. 13. SI에서 일을 하며 배웠던 실제 운영되고 있는 리눅스 서버에 업데이트된 내용을 반영할 때 어떻게 하면 되는지 정리하는 글입니다. 총 2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정리할 것이 고 1번 방법은 War파일로 전체 파일을 반영하는 방법 2번 방법은 class파일로 부분 파일로 반영하는 방법을 정리할 것입니다. 1번 방법은 수정된 부분이 많고 본인 혼자서 프로젝트를 관리했을 경우 쓰면 매우 편하고 적절한 방법이며 2번 방법은 수정 된 부분이 적거나 여러명이서 프로젝트 를 관리 했을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서버 관련 정보를 받아야 합니다 실제 운영되고 있는 서버의 IP와 포트번호, 접속할 수 있는 아이디 비밀번호가 필요하기에 먼저 해당 정보를 관계자에게 받아야 합니다 아래의 정보는 예시 정보입.. 복구모드 CMD로 USB보안 프로그램 뚫는 방법 2020. 6. 7. SI업체에서 일을 하면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꽤나 큰 프로젝트로 다른 회사나 국가와 함께 일을 하다 보면 필요한 파일을 받아서 옮겨야 하는데 사내 보안 프로그램이나 보안 기능들로 인해 USB로 파일을 옮길 수 없게 만들어 놓은 경우가 매우 많다. 보안을 위해서는 매우 합리적이고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문제는 같이 일을 하는 입장에서 보안을 풀어줘야 할 때가 분명 있는데 일처리를 답답하고 병신같이 처하거나 정말 얼토당토않은 자기 고집, 혹은 병신 같은 신념으로 풀어주지 않는 사람들이 생각 외로 꽤나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항상 '갑'들은 자신들이 법인 줄 알고 '을'들은 새로운 방법을 찾아 내야만 하니 어쩌겠는가?... 그렇게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이 어둠의 방법을 소개해 주려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