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 JSP Servlet생명주기 2020. 6. 19. JSP에서 Servlet의 생명주기는 위의 그림과 같다 최초 한번 서블릿을 생성하고 제일 먼저 Init()를 호출한다 그 후 service(), doget(), dopost()함수를 호출하며 Init()와 달리 요청 시 매번 호출하게 된다 그리고 destroy()함수는 마지막에 한 번 실행이 되는데 자원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PostConstruct를 통해서 서비스나 doget dopost를 호출하기 전 먼저 선처리 호출을 할 수도 있고 @PreDestroy를 통해 destroy()함수가 끝난 후 후처리 호출을 할 수도 있다 언어를 할 때는 언어의 라이프 사이클을 이해하고 있어야 코딩을 하면서 훨씬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반드시 잘 이해해 놓도록 하자 JSP / SPRING 용어 정리(1) 2020. 6. 1. 스프링 ( 전자정부 프레임 워크 포함) 을 잘 하려면 기본적으로 자주 쓰이는 용어를 반드시 숙지하고 있는게 좋다 일단 용어에 대한 풀이만 잘 알고 있어도 이론은 반은 먹고 들어간다고 생각해도 좋다. 1.먼저 Servlet이란 뭘까? 자바 서블릿(Java Servlet)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흔히 "서블릿"이라 불린다. 자바 서블릿은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이다. 2. 그렇다면 스프링에서 Dispatcher Servlet이란 모델(Model)과 컨트롤러(Controller)와 뷰(View)를 조합하여 웹 브라우저로 출력해주는 역학을 수행하는 클래스이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핸들링하는.. 이전 1 다음